본문 바로가기
ᴛʜᴇ ғᴜᴛᴜʀᴇ ᴅᴇᴘᴇɴᴅs ᴏɴ ᴍᴇ/2023 읽은 책

[오늘의독서 #230319] 스틱 stick! ~160p

by ʀᴇ;ᴛᴀᴇ 2023. 3. 19.

공백이론

호기심은 지식의 공백을 느낄 때 발생한다.

공백 이론의 전제는 공백을 메우기 전에 먼저 그 공백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의 지식에 공백이 존재함을 알려주는 질문이나 수수께끼를 던져라.

 

사람들의 관심을 잡아매고 싶다면 호기심의 공백 이론을 최대한 이용하라. 미스터리라는 양념을 조금만 친다면 흥미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지식의 공백은 흥미를 유발한다. 하지만 지식의 공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미 존재하는 지식을 강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당신은 이러이러한 것을 안다. 자, 그리고 여기 당신이 모르는 사실이 있다." ~~~

 


어제에 이어

의외성에 대한 내용이었다. 

 

스티브잡스의 명언이 떠올랐다.

"A lot of times, people don't know what they want until you show it to them"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그들의 지식에 공백이 존재함을 알려주는 질문이나 수수께끼를 던지기 전까지

사람들은 자신의 지식이 공백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많이 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한다. 

이런 허점을 찌를 수 있는 메시지를 내가 생각해낼 수 있을것인가? 그것도 의문이다... 

댓글